RE100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결성된 기업들의 이니셔티브로 지난 2014년 영국 더클라이밋그룹과 CDP에 의해 제안되었으며, 2022년 10월 현재 유수의 글로벌 기업 380 여개 사가 참여하고 있다. 국내에서도 SK하이닉스, 삼성전자 등 25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. RE100 이슈가 국내에서는 통상이슈가 되면서, RE100을 달성하기 위해 충분한 재생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확대되고 있다. 이러한 논란은 RE100에서 인정하는 재생에너지가 태양광, 풍력, 바이오, 지열, 수력 등의 재생 가능한 에너지에 국한된다는데 있다. 따라서 RE100에 가입한 기업들 및 가입 예정 기업들을 정확히 예측하여 각각의 기업들의 전력소비량과 RE100 달성을 위한 목표연도에 대한 자료 분석 작업이 필요하고, 매년 달성 목표 및 그 목표에 해당하는 전력량을 최대한 정확하게 예측하여야 한다. 이렇게 RE100을 위한 재생에너지원과 전력량이 예측되면, RE100이 세계 경제의 새로운 무역 장벽이 된 상황에서 기업들에게는 재생에너지를 제대로 조달할 수 있는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다. 그러나 낮은 전기료, 높은 토지 임대료, 망연계비용 및 민원과 인허가비, 높은